윤공윤능(允公允能) 일신월이(日新月異)
교훈은 개교 초기에 아직 명확하게 제시되지는 않았지만 장기적인 실천 속에서 점차적으로 발전하고 완비해졌습니다. 처음에 국부 옌슈(严修)는 학생들의 이기심, 무저항, 충동성에 겨냥하여 공공이익, 자기 방어와 학생들의 능력을 중시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1908년 7월 10일 옌슈(严修)는 난카이중학교 선구자들에게 간절한 희망을 품고 말씀했습니다. “고상한 관리가 아니라 애국자를 영원히 동경하라!” 이것이 바로 난카이중학교를 세운 목적입니다. 비록 교훈은 옌슈(严修)가 세상을 떠난 후 공식적으로 제기된 것이지만 그의 교육 사상과 일치한 것이었습니다.
기록에 따르면, 1934년 10월 장버링(張伯苓)은 난카이학당 창립 30주년 기념 행사에서 난카이학당의 교훈은 윤공윤능(允公允能) 일신월이(日新月異)라고 공식적으로 발표했는 데, 그 구법 구조는 <시경> 여숭(吕嵩)의 운문운무(云文云武)(문명에 헌신하여 군사력을 얻다)에서 유래했습니다. 운(運)은 첫 번째 조사로서 다시 그리고 여전히(再而仍)를 의미하며, 운공 운능(運功運能)은 책임감, 능력, 창의력 이 세 단어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예기(禮記)>와 <대학(大學)>에서 따온 일신월이(日新月異)라는 단어는 매일 발전하고자 하는 갈망을 의미합니다. 1916년 9월 20일 수련수업에서 장버링(張伯苓)은 진취적인 정신은 예로부터 존재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역경(易经)>에 하늘이 움직이면 힘으로 충만되고, 군자는 자강불식한다는 말이 있는 데, 여기서 천행건(天行健)은 하늘의 움직임과 세계의 큰 변화를 강조합니다. 독서하는 동안, 우리는 진취적인 힘을 느낄 수 있는 데, 이는 일신월이(日新月異)의 원천입니다. 5·4를 앞두고 창작된 난카이 교가는 발전을 갈망하는 매일이라는 의미에서 일신(日新) 사상을 담고 있습니다. 이는 우리가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고 새로운 것을 창조하도록 격려하는 동시에 새로운 것을 따라 잡으면서 항상 시대와 더불어 발전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1946년 장버링(張伯苓)이 졸업생을 위해 쓴 교훈(校訓).
장버링(張伯苓) 부부의 묘비에서 발췌한 교훈
1944년 10월 17일 난카이학당 창립 40주년 기념일을 맞아 장버링(張伯苓)은 난카이 40년 회고라는 기사에서 교훈에 대해 명확히 설명했습니다. 무식, 연약, 빈곤, 결속력 부족, 이기적인 사회 현상에 대비해 난카이의 목표는 나라 및 지역사회에 대한 사랑과 사회를 위해 봉사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항상 공공이익에 최선을 다하고 우리의 지역사회를 사랑하며 중국을 위해 희생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며, 또한 전방위적인 능력을 얻어 무지에서 벗어나 강해져야 합니다. 학교 교훈은 국가 번영의 길잡이로서, 유용한 인재를 양성할 수 있습니다. 40년간의 분투 과정을 되돌아보면서, 장교장은 계속하여 난카이는 지난 몇십년 동안 줄곧 분투하여 자강불식하고 있다면서, 교훈이 주는 정신력은 난카이 사생들의 독특한 품성을 대표한다고 지적했습니다. 1951년 2월 23일 장버링(張伯苓)은 톈진에서 세상을 떠나셨습니다.그이는 과학교육·건강교육·애국주의 교육, 그리고 우리의 교훈을 포함한 내가 추구하는 것은 장차 정부의 지도하에 실현될 것이라는 유서를 남겼습니다.
난카이 간행물과 일부 공식 공고에 사용되고 있는 윤공윤능(允公允能) 일신월이(日新月異) 이 여덟 한자는 난카이대학교 동문이자 유명한 서예가인 우위루(吴玉如)가 1962년 장버링(張伯苓) 부부의 묘비에 적은 친필수적입니다. 백 여년 동안 난카이는 학교의 교훈을 받들어 자신의 발전을 사회와 밀접하게 결합시키면서, 아무리 어려운 환경에서도 지속적으로 끊임없는 노력을 계속하여 민족의 부흥과 민족번영을 위한 뛰어난 인재들을 많이 육성해 냈습니다.